서브이미지

[강씨]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 ~ 1791)

표암 강세황 영정
 



김홍도의 스승, 조선후기 시, 서, 화 삼절(三絶)로 일컬어진 화가. 문관, 평론가


본관 진주(晋州). 자 광지(光之). 호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 헌정(憲靖).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8세 때 시를 짓고, 13~14세 때는 글씨에 뛰어난 솜씨를 보여, 소년기에 쓴 글씨조차도 병풍을 만드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 아버지의 사랑과 교육을 받았으며, 매형이었던 임정(任珽)의 영향도 크게 받았다. 처남 유경종 외에도 허필(許?) ·이수봉(李壽鳳)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 이익·강희언 등과도 교유하였다. 당대의 유명한 화가였던 김홍도·신위 등도 그의 제자들이다. 벼슬에 뜻이 없어 젊은 시절에는 주로 작품활동에만 전념하였다.


32세 때 가난 때문에 안산(安山)으로 이주한 뒤에도 오랫동안 학문과 서화에만 전념하였다. 처음 벼슬을 한 것은 61세로, 영조의 배려에 힘입어 관계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64세 때 기구과(耆耉科), 66세 때 문신정시에 장원급제하였으며, 영릉참봉·사포별제(司圃別提)·병조참의·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72세 때 북경사행(北京使行), 76세 때 금강산 유람을 하고, 기행문과 실경사생 등을 남겼다. 시·서·화의 삼절로 불렀으며, 식견과 안목이 뛰어난 사대부 화가였다. 그 자신은 그림제작과 화평(畵評)활동을 주로 하였는데, 이를 통해 당시 화단에서 ‘예원의 총수’로 한국적인 남종문인화풍을 정착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영통동구(靈通同口)>,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 중
1757년 추정, 종이에 수묵담채, 32.8×53.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송도기행첩]은 그가 개성 부근을 여행하고 그린 진경산수이다.
<영통동구> 의 화면 윗부분에 “영통골 가는 길에 집체만한 바위들이 있고 거기에 검푸른 이끼가 끼어 보는 이의 눈을 놀라게 한다”고 적었다.
이 작품의 바위에서 볼 수 있듯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음영법을 적절히 구사하였다.
늘 자연에서 받은 인상을 현실감나게 그리려고 노력하던 그가 새로운 방안을 개척한 셈이며, 이는 산수화에 서양화법을 응용한 선구적인 예로 기억될 만하다.
신선한 생명감이 넘치는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산수화를 대표하는 명작 중의 하나이다.

 

이밖에도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새로운 서양화법을 수용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평생 동안 추구한 그의 서화의 세계는 궁극적으로 습기(習氣)도 속기(俗氣)도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었다. 산수·화훼가 그림의 주소재였으며, 만년에는 묵죽으로 이름을 날렸다.

작품으로는 《첨재화보(添齋畵譜)》 《벽오청서도》 《표현연화첩》 《송도기행첩》 《삼청도》 《난죽도》 《피금정도》 《임왕서첩(臨王書帖)》 등이 있으며, 54세 때 쓴 《표옹자지(豹翁自誌)》에 있는 자화상을 비롯하여 7~8폭의 초상화를 남겼다.

< 산수도 >, 『첨재화보(添齋畵譜)』 
제7폭 1748년, 종이에 담채, 18.7×22.2cm, 개인 소장.
강세황은 36세에 자신의 호를 딴 작품집인 『첨재화보』를 만들었다.
『첨재화보』는 일생 문인화가의 길을 간 그의 입지를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의미가 크다.
 

표암의 미술사적 공헌은 역시 미술비평에 있다. 그는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 1686-1761) 같은 앞 시대의 대가들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같은 동시대 화가들의 무수한 작품에 화평을 가했다. 이런 적극적인 미술평론은 실로 전례 없던 일이었다. 표암이 남긴 화평은 실제 작품들에, 그리고 그의 문집 《표암유고(豹菴遺稿)》에 상세히 남아 있다.
 

〈백석담도〉, 《송도기행첩》, 1757년, 종이에 수묵담채, 32.8×53.4㎝, 국립중앙박물관
이 작품은 강세황이 지금의 개성지방인 송도를 여행하고 그린 《송도기행첩》 중의 한 점이다. 당시에는 새로운 방법이었던
원근법, 음영법 등의 서양화법을 사용하여 그렸다.

 


그의 화평은 아주 간결하면서도 핵심적이다. 한 예로 담졸(澹拙) 강희언(姜熙彦, 1710-1784)의 〈인왕산도(仁王山圖)〉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평했다.

“진경산수를 그리는 사람은 혹시 지도처럼 될까 봐 걱정하는데 이 그림은 충분히 실경의 모습을 담았으면서도 화법을 잃지 않았다.”

표암은 인품이 너그러워서 남을 비판하는 것보다 그의 장점을 드러내주는 화평을 많이 남겼다. 그래서 “표암 평”이라는 세 글자가 들어 있는 작품은 당연히 그 예술적 가치가 몇 갑절 더 높아졌기 때문에 표암의 집 앞에는 화평을 받아가려는 사람으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고 한다.

 

표암(豹菴) 강세황 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510-10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